본문 바로가기

미국 증시 요약

2025.01.31 미국 증시 요약

 

📉 주요 지수 종가

  • S&P 500: 6,040.53 (전일 대비 -0.50%)
  •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 44,544.66 (전일 대비 -0.75%)
  • 나스닥 종합지수: 19,627.44 (전일 대비 -0.28%)


 

📈 M7 종목 종가

  • 애플 (AAPL): 236.00 USD (전일 대비 -0.72%)
  • 마이크로소프트 (MSFT): 415.06 USD (전일 대비 +0.00%)
  • 알파벳 (GOOGL): 204.02 USD (전일 대비 +1.59%)
  • 아마존 (AMZN): 237.68 USD (전일 대비 +1.27%)
  • 메타 플랫폼스 (META): 689.18 USD (전일 대비 +0.29%)
  • 엔비디아 (NVDA): 120.07 USD (전일 대비 -3.72%)
  • 테슬라 (TSLA): 404.60 USD (전일 대비 +1.09%)


 

🏢 주요 기업 이슈

📉 엔비디아 (NVDA)

  • 주가 변동: 전일 대비 -3.72% 하락하여 120.07달러로 마감.
  • 주요 원인:
    1. 반도체 관세 및 수출 규제 우려 → 미국 정부의 대중국 반도체 수출 규제 강화 가능성이 부각되면서 매출 감소 우려가 커졌습니다.
    2. 트럼프-젠슨 황 회동 → 1월 31일, 엔비디아 CEO 젠슨 황이 백악관에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 회동하며 반도체 정책 및 AI 경쟁력 강화를 논의했습니다. 하지만, 규제 완화에 대한 구체적인 합의가 도출되지 않아 투자 심리에 부정적 영향을 미쳤습니다.

📉 엑슨모빌 (XOM)

  • 실적 발표: 2025년 1월 31일, 4분기 실적이 시장 예상치를 하회.
  • 주가 변동: 전일 대비 -2.51% 하락하여 106.83달러로 마감.
  • 주요 원인: 원유 가격 변동성과 생산 비용 증가로 인해 수익성이 예상보다 낮아졌습니다.

📉 쉐브론 (CVX)

  • 실적 발표: 2025년 1월 31일, 4분기 실적이 시장 예상치를 하회.
  • 주가 변동: 전일 대비 -4.54% 하락하여 149.19달러로 마감.
  • 주요 원인: 원유 생산량 감소와 정제 마진 축소로 인해 수익성이 저하되었습니다.

 



🛢 주요 원자재 선물 가격

  • 금(Gold): 트로이 온스당 $2,767.50 (전일 대비 +0.20%)
    • 📌 주요 이슈: 글로벌 경제 불확실성 증가로 안전 자산인 금에 대한 수요 상승.

  • 원유(WTI): 배럴당 $73.77 (전일 대비 -0.50%)
    • 📌 주요 이슈: 중동 지역의 지정학적 긴장과 미국의 원유 재고 감소가 유가 상승 요인으로 작용.

  • 구리(Copper): 톤당 $9,218.00 (전일 대비 -0.30%)
    • 📌 주요 이슈: 중국의 산업 생산 둔화 전망이 구리 수요에 부정적 영향을 미침.

  • 알루미늄(Aluminum): 톤당 $2,605.50 (전일 대비 -0.10%)
    • 📌 주요 이슈: 중국의 알루미늄 생산 증가와 글로벌 공급 과잉이 가격 하락 요인.

  • 커피 C 선물: 파운드당 $3.7790 (377.90센트, 전일 대비 +1.21%)
    • 📌 주요 이슈: 브라질과 베트남의 이상 기후로 작황 부진이 예상되면서 커피 원두 가격 상승.


 

📊 발표된 주요 경제 지표

📈 개인소비지출(PCE) 물가지수 (12월)

  • 전체 PCE: 전년 동월 대비 2.6% 상승.
  • 근원 PCE: 전년 동월 대비 2.8% 상승.
  • 📌 해석: 인플레이션 둔화가 정체되는 모습을 보이며, 연방준비제도(Fed)의 금리 인하 시점을 지연시킬 가능성이 커졌습니다.


📈 개인소득 및 소비지출 (12월)

  • 개인소득: 전월 대비 0.4% 증가.
  • 개인소비지출: 전월 대비 0.7% 증가.
  • 📌 해석: 소득과 소비 지출이 모두 증가하여 경제 활동이 활발함을 시사하지만, 소비 증가가 인플레이션을 자극할 수 있어 금리 정책에 변수가 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 시카고 PMI (1월)

  • 지수: 39.5 (예상치 40.3, 이전치 36.9)
  • 📌 해석: 시카고 PMI는 전월 대비 2.6포인트 상승하여 39.5를 기록했으나, 여전히 50 이하를 유지하며 제조업 경기 위축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이는 중서부 지역 제조업 활동이 부진함을 시사하며, 기업 투자와 생산 활동 둔화의 영향을 반영하고 있습니다.

📉 고용비용지수 (4분기)

  • 전분기 대비: 0.9% 상승
  • 전년 동기 대비: 3.8% 상승
  • 📌 해석: 고용비용지수(ECI)는 전분기 대비 0.9% 상승하여 이전 분기(0.8%)보다 소폭 증가했으며, 시장 예상치와 부합했습니다. 전년 동기 대비 상승률은 3.8%로 둔화되어, 연방준비제도(Fed)가 인플레이션 통제를 유지하는 데 긍정적인 신호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